-
영유아관찰평가
- 1차시 관찰의 정의와 목적
- 2차시 관찰의 일반적 절차와 관찰연구의 유형
- 3차시 표본식 기술
- 4차시 표본식 기술의 실제
- 5차시 일화기록
- 6차시 일화기록의 실제와 요약
- 7차시 일화기록을 위한 관찰의 발달별 범주
- 8차시 시간표집법
- 9차시 적목놀이
- 10차시 사회적 놀이와 실제
- 11차시 인지적 놀이와 실제
- 12차시 사회·인지적 놀이와 실제
- 13차시 사건표지법과 실제
- 14차시 평정 척도법과 행동목록법
- 15차시 포트폴리오
- 16차시 학부모 면담
-
1주 1강
- 한국어
- 세계의 다른 언어들과 구별되는 고유명사로서 주로 대외적으로 외국인에게 한국인이 사용하는 말
- 한국어교육
- 외국인과 해외 동표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을 목표로 함
- 제 2언어
- 태어나서 처음 습득한 언어가 있고 두 번째로 배우는 언어
이은임 교수님 프로필 소개
-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 석사
- 예지어린이집 원장
- 아이클 어린이집 원장
학습목표
- 관찰이란 무엇인지 알 수 있다.
- 관찰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사용되어지는 이유에 대해 알 수 있다.
- 관찰법의 종류를 알 수 있다.
- 관찰의 목적과 관찰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.
- 관찰의 종류를 알아보고 어떻게 관찰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알 수 있다.
학습내용
- 관찰의 정의
- 유아교육 현장에서 관찰평가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지는 이유
- 관찰법의 종류
- 관찰의 목적과 의의
- 관찰의 종류
1) 자연적 관찰과 통제된 관찰
2) 참여 관찰과 비참여 관찰